javascript57 국비 지원 개발자 과정_Day57 package com.day1; import java.io.IOException; import java.io.*; import javax.servlet.ServletException; import javax.servlet.http.HttpServlet; import javax.servlet.http.HttpServletRequest; import javax.servlet.http.HttpServletResponse; import org.apache.log4j.Logger; /* form 전송시 클라이언트측의 요청을 서블릿이 듣는다(받는다) method="get"이면 doGet호출 method="post이면 doPost호출 자바가 서블릿이 되기위한 조건은 반드시 HttpServlet을 상속받는 것이다 상속.. 2023. 2. 17. 국비 지원 개발자 과정_Day56 회원 가입 양식 아이디 비밀번호 비밀번호확인 지역 서울 부산 대구 package com.mvc.controller; import java.io.IOException; import java.util.List; import java.util.Map; import javax.servlet.ServletException; import javax.servlet.http.HttpServlet; import javax.servlet.http.HttpServletRequest; import javax.servlet.http.HttpServletResponse; import org.apache.log4j.Logger; import com.mvc.dao.TestDao; public class TestServlet exte.. 2023. 2. 16. 국비 지원 개발자 과정_Day55 HTML5에서 제공하는 input 태그의 type속성으로 사용 가능한 속성값을 5가지 이상 작성 button, checkbox, color, date, email HTML의 영역을 구분하는 태그 중 div 태그와 span 태그의 차이점을 서술 div는 줄 바꿈이 되고 Block속성으로 width, height 크기 지정이 가능하지만, span은 줄바꿈 없이 그 옆으로 붙고 Inline속성으로 크기를 지정할 수 없다. 전역객체(Window)의 NaN 속성에 대해 서술 Not-A-Number로 숫자가 아니라는 의미 자바스크립트의 scope 중 block scope에 대해 서술 주어진 코드블록({}) 안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며 밖에서는 접근할 수 없는, {}에 의해 생기는 변수의 유효범위를 블록 스코프라고 한다.. 2023. 2. 15. 국비 지원 개발자 과정_Day54 REST(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) 웹에서 데이터를 전송 및 처리하는 방법을 정의한 인터페이스 모든 데이터 구조와 처리방식은 REST에서 URL을 통해 정의되며, 그래서 매우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음 HTTP Method를 통해서 Resource를 처리하며, CRUD를 통한 resource 조작을 할 때 사용 HTTP Method REST를 지키면서 행위를 전달하는 방법 get 조회 - 링크를 걸 수 있다, 쿼리스트링이 헤더에 전달된다 post 생성 put 수정 delete 삭제 자바에는 http를 지원하는 api가 없다 → 브라우저에 요청사항 전달 위해서는 서블릿, JSP필요 HTTP(Hyper Text Transfer Protocol) 서버/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라 데.. 2023. 2. 14. 국비 지원 개발자 과정_Day53 "type": "module", packge.json에 등록한다 생략하면 CommonJS이므로 반드시 module 등록한 후 사용 가능(주의할 것!) export default 10; // 1개밖에 사용 못함, default사용하면 {} 사용불가! export const insa = "hello"; export const names = ["apple", "kiwi", "tomato"]; export const hap = (i, j) => { return i + j; }; export class Sonata { constructor() { this.wheelNum = 4; this.speed = 10; } speedUp = () => { this.speed = this.speed + 1; }; } /* 호.. 2023. 2. 13. 이전 1 ··· 5 6 7 8 9 10 11 12 다음